웹진 카페人  
내 마음의 카페
[문학산책] 패러디 시, 2편

물질만능주의, 메뉴판에서 뒤틀리다

- MENU -

샤를르 보들레르   800원
칼 샌드버그   800원
프란츠 카프카   800원
이브 본느프와   1,000원 
에리카 종   1,000원
가스통 바슐라르   1,200원
이하브 핫산   1,200원
제레미 레프킨   1,200원
위르겐 하버마스   1,200원

시를 공부하겠다는 
미친 제자와 앉아
커피를 마신다
제일 값싼 
프란츠 카프카

_ 오규원, <프란츠 카프카>
 

2009_7_2.JPG

인용된 작품은 1987년 발행된 시집 《가끔은 주목받는 생(生)이고 싶다》에 수록된 오규원 시인의 시 ‘프란츠 카프카’ 전문입니다. 최근 작고한 오규원 시인은 이 작품을 통해 물질적 가치만 중시하는 현대 사회를 풍자합니다. 말하자면 ‘시’라는 정신적 가치가 집약된 문학마저도 상품화되는 것을 메뉴판 형식을 차용해 표현한 셈이죠. 

보통의 메뉴판은 판매되는 음료나 음식을 나열하고 교환가치인 금액을 제시함으로써 소비 안내서라는 효용을 지니지요. 시인은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메뉴판에 음료 대신 서구의 유명한 문학가, 철학가 등을 제시합니다. 이런 패러디가 목표하는 것은 분명해 보이는데요. 문학이나 인간의 정신도 상품화되어 있는 현실을 꼬집음으로써 자본주의가 추구하는 가치의 왜곡을 비판한 것이죠. 이 시는 속물스러운 세계에 대한 문명 비판적 성격과 시 장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시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집니다. 전반부는 서구의 유명한 문학가와 철학가들의 이름에 1000원 안팎의 가격을 붙여 두었네요. 발표된 시기가 1987년이니까 그 동안 우리 물가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메뉴판에 제시된 세계적인 작가와 인문학자들은 작품이나 저작물로 평가되는 것이 아니라 커피의 메뉴로 환치되어 등장합니다. 가치 평가가 불가능한 존재를 돈으로 평가함으로써 인간도 문학도 모두 상품화하는 현실을 조롱하는 거지요. 
그러나 이 부분만으로는 시가 될 수 없고 문학이 될 수는 없죠. 이 메뉴판이 어쨌다는 것인지, 왜 이런 가격이 붙어있는지에 대한 문학적 수사가 필요한데요. 시인은 후반부에서 다시 한 번 현실을 환기합니다.

후반부는 시를 공부하겠다는 제자와 커피를 마신다는 내용이네요. 한 예술대학에서 오랫동안 시를 가르쳐온 시인의 이력으로 볼 때 실제 있었던 일화로 봐도 무방할 것입니다. 그게 사실이냐 상상이냐가 중요한 것은 물론 아닙니다. 
주목할 부분은 그 제자를 미쳤다고 표현한 것인데요. 시를 공부하겠다는 제자가 실제 미쳤을 리는 없을 테고, 그 제자를 미쳤다고 일갈하는 스승의 말이 이 작품을 ‘의미 있는 작품’으로 올려놓습니다. 이 구절이 없었다면 이 시는 패러디가 추구하는 풍자의 지위를 잃어버렸을 테니까요. 물질적 가치가 중시되는 현실에서 ‘돈 안 되는’ 시를 공부한다는 것은 그 자체가 어쩌면 비현실적인지도 모를 일입니다. 그러나 인간에게 마지막까지 남아 있을 것은 돈이 아니고 인간의 정신적 가치가 아닐까요. 그리하여 화자가 제자를 미쳤다고 표현한 것은 반어적으로 읽어야 하며, 정작 미친 것은 물질만 추구하는 사회가 아니냐는 것입니다. 

2009_7_1.jpg

물질이 신의 지위를 확보한 물신(物神) 사회에서 문학과 사상, 철학 등의 인문학이 외면당하고 있는 현실 앞에 화자는 메뉴판을 찢지도 버리지도 못한 채 그들을 커피 메뉴와 등가시킴으로써 결국 자신을 자조하고 있는 거죠. 그러면서 그 제자와 가장 값싼 커피를 마십니다. 생산적인 일을 하지 못하는 사람으로서 당연히 가장 값싼 커피를 마셔야 된다는 논리이인데요. 이 부분은 현실에 대한 시인의 자조적인 인식이 가장 노골적으로 드러난 부분으로 봐야 할 것입니다. 

등단 이후 주로 물질문명과 정치화되어 가는 현대의 언어를 비판하는 시를 썼던 시인의 일관된 목소리는 때로는 반어적 표현 방법으로, 때로는 냉소와 야유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인간 소외나 문명 비판에 대한 저항의식의 발로가 커피 메뉴와 결합해 커피처럼 쌉싸름한 목소리로 퍼져 나오고 있네요. 패러디를 통해 우리 삶을 뒤집어보는 시를 한 편 더 소개할까 합니다.

패러디가 풍자하는 현대인의 사랑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라디오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단추를 눌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전파가 되었다.

내가 그의 단추를 눌러 준 것처럼
누가 와서 나의 
굳어버린 핏줄기와 황량한 가슴 속 버튼을 눌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전파가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사랑이 되고 싶다.
끄고 싶을 때 끄고 켜고 싶을 때 켜는 
라디오가 되고 싶다.

_ 장정일,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2009_7_3.jpg

소설가 장정일이 시인으로만 활동하던 시절에 발표한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이라는 제목의 시 전문입니다. 이 시는 김춘수의 <꽃>을 패러디의 기법을 사용하여 재창작한 작품이죠. 

시문학에서 패러디 기법은 독자에게 익숙한 시 형식이나 내용을 변형시키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런 방식을 통해 작가는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하거나 창작 주체인 시인의 시 의식을 뚜렷하게 보여주게 되죠. 패러디 행위는 독자들에게 기존의 질서가 지배하는 세계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안목을 넓혀 주며, 앞으로 새로운 세계에 통용될 수 있는 문학의 역할과 사명을 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꽃>은 무의미했던 존재가 의미 있는 존재가 되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존재 사이의 순수하고 아름다운 만남을 소망한 작품인데요. 남녀의 사랑을 노래하면서도 존재론적 탐구라는 철학적 의미를 부여받은 작품으로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작품입니다. 작가는 이를 라디오와 단추라는 소재로 패러디함으로써 원래의 작품이 가지고 있던 철학적 위상을 전복시키고 현대인들의 인스턴트식 사랑을 풍자하는 노래로 뒤바꿔놓고 있네요. 

시인은 김춘수의 <꽃>을 읽고 우리의 삶에서 존재와 존재가 만나는 가장 아름다운 모습은 사랑이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이 시대의 물질 중심적 사고는 그 사랑마저도 변하게 만듭니다. 절망적인 만큼 더욱 간절하지만, 우리의 사랑은 어쩌면 라디오를 끄고 켜는 것처럼 손쉽고 일회적인 것이 아닌지 모른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2009_7_4.jpg

라디오는 끄고 싶을 때 언제든지 끄고, 켜고 싶을 때 언제든지 켤 수 있는 물질문명입니다. 다시 말해 사람들의 편의나 실용성에 의해서만 존재 가치를 인정받는 도구입니다. 한 번 상상해 보시죠. 만약 사랑이 라디오처럼 편의적인 것이라면 우리는 사람들의 만남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그 사랑은 일회적이고 물질적일 수밖에 없을 테죠. 

이 시는 가볍고 감각적인 어투로 사랑의 세태를 풍자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랑의 의미를 가볍게만 받아들이고 사랑마저도 일회적으로 소비할 수 있다고 여기는 현대 사회의 풍토를 비판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주변의 사랑은 과연 어떤 모습인가요. 이번 기회에 한 번 되새겨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인 것 같습니다. 

글 | 오형석(카페인 에디터)